-
[Spring] Model사용법 (request영역 저장)Web/Servlet && Spring 2019. 8. 22. 12:43
기존에는 HttpServletRequest클래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영역에 저장했었지만 Spring에서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서 Model객체를 따로 만들었다.
Model.addAttribute(키, 값)을 적게 되면 request영역에 값이 저장된다.
Model객체는 request영역만 가능하기 때문에 Session영역에 값 저장은 불가능 하다.
즉,
Model.addAttribute( "key", value ) == request.setAttribute( "key", value)
Model은 영역객체(request)를 대신하는 객체
만약, 키값을 생략시 클래스명을 키값으로 대신한다.
또, jsp파일의 태그에 name을 적어 놓으면 컨트롤러에서 인자값에 동일한 이름을 넣으면 값을 가져올 수 있다.
@RequestMapping("result2") public String result2(String username, HttpServletRequest request) { System.out.println(username); request.setAttribute("username", username); return "0822/result"; } @RequestMapping("/result3") public String result3(PersonVO vo, Model model) {//Spring에서 Model을 만들어 놨다 데이터 저장을 위해서 model.addAttribute("vo",vo);//request영억, session영역은? return "0822/result3"; }
반응형'Web > Servlet &&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Redirect(리다이렉트) 사용법 (0) 2019.08.23 [Spring] annotation @ 사용법 (0) 2019.08.23 [Spring] 웹개발 모델의 종류 (0) 2019.08.22 [Spring] 레거시 프로젝트 만들기 (Legercy Project) (0) 2019.08.21 [Spring] 스프링 프레임 워크 개념 (0) 2019.08.20